장기기증
장기기증은 자신의 소중한 일부를 불치의 환자들에게 새 생명을 선물하는 것입니다.
장기기증(Organ donation) 이란?
- 뇌사상태인 환자나 살아있는 자가 장기가 필요한 이식대기자에게 가족들의 동의나 본인의 서면동의 혹은 민법의 유언 규정에 의한 유언에 따라 장기를 기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제 기증시점이 되었을 때 가족 중 배우자 > 직계비속 > 직계존속 > 형제자매 순으로 1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
장기기증의 유형은?
- 뇌사시 장기기증 : 신장·간장·췌장·심장·폐·각막·췌도·소장
- 사망시 장기기증 : 각막·신장·췌장·췌도
- 인체조직기증 : 뼈 연골·근막·피부·인대· 힘줄·심장판막·혈관 등
장기기증 희망등록 방법
- 직접방문 : 신분증 지참 후 김천시보건소 또는 가까운 장기이식 등록기관을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
- 온라인 등록 :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www.konos.go.kr) 접속 후 본인인증을 통해 직접 기증희망등록
장기기증 희망등록 절차
단계 | 주요 내용 |
---|---|
신청서 작성 | 장기 등 조직기증자 등록신청서 작성(등록희망자) |
등록기관 등록 | 장기이식 등록기관에 등록(직접방문, 온라인) |
등록증 발급 | 신청자 주소지로 스티커와 함께 기증희망등록증을 발송(장기이식등록기관) |
QnA
뇌사와 뇌사기증이란 무엇을 말합니까?
- 뇌사 : 각종 뇌질환이나 교통사고 등으로 뇌의 기능이 손상되고 호흡 및 순환중추기능까지도 상실하여 회복이 절대 불가하며, 인공호흡기를 부착하더라도 결국에는 심장박동이 정지되는 상태
- 뇌사기증 : 정밀한 의학 검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뇌사판정을 받았을 때 장기 기증
뇌사나 사후에 장기기증을 하면 특별한 혜택 또는 비용이 있나요?
- 기증 과정에서 기증자 또는 그 유족이 부담하는 비용은 전혀 없으며, 장기기증은 대가를 바라지 않는 순수기증을 원칙으로 합니다. 현재는 뇌사장기기증자 예우 차원으로 소정의 장제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단, 각막만 기증하는 경우는 장제비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사후에 시신기증을 원할 때는 어떻게 하나요?
- 의학발전을 위한 연구목적으로 시신기증을 하고자 하는 분은 기증을 원하시는 의과대 학교 해부 학교실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
- 김천시보건소 의약팀 ☎ 054-421-2877
-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 02-2628-3602 (기증희망등록)
-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
- 담당부서보건행정과
- 연락처054-421-2730
- 최종수정일 2020.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