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 재정여건 및 운용 방향
2025년도 재정전망
- 세입여건
- (지방세) 지속적인 국제유가 상승 및 국제 여건 불안 등으로 인한 유류세 인하 연장으로 인한 자동차세 주행분 감소와 국세 수입 감소로 인한 지방소득세 저조 등 지방세 전반적인 부정적 영향 우려
- 경기 침체 및 부동산 시장 둔화에 따른 따른 법인소득·양도소득세 등 감소로 지방소득세 감소 예상
- 적극적인 체납세 징수활동을 통해 과년도 수입 소폭 증가 예상
- (세외수입) 사계절 썰매장, 김천시립 추모공원 운영에 따른 사용료 수입 증가, 체납징수 활동 강화, 지방세외수입 운영실적 분석·진단 내실화 등으로 점진적 확대 기대
- (지방교부세) 기업실적 악화, 자산시장 불확실성 등에 따른 법인세 및 소득세 등 감소 예상에 따른 국세 수입 감소에 따라 지속적인 하락세
- (국고보조금) 생계급여 확대·기초연금 인상 등 정부의 약자복지 강화에 따른 복지 예산 증가에 힘입어 전반적인 국고보조금 증가
- 다만, 지속적인 건전재정 기조에 따른 강력한 지출 구조조정으로 성과가 저조하거나 타당성, 효과성이 없는 사업은 과감한 폐지 및 삭감
- (지방세) 지속적인 국제유가 상승 및 국제 여건 불안 등으로 인한 유류세 인하 연장으로 인한 자동차세 주행분 감소와 국세 수입 감소로 인한 지방소득세 저조 등 지방세 전반적인 부정적 영향 우려
- 세출여건
- (민생경제 회복 및 지역경제 활력)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고물가·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민생 경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양질의 지역 일자리 창출 등 경제활성화 사업 필요
- (저출생 극복 인구구조 변화 대응) 초저출산 시대에 따른 인구감소와 고령화, 생활인구 개념 도입 등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에 따른 대응 사업 투자 강화
- (첨단산업도시 육성 기반 조성) 스마트 그린물류, 지역거점 드론실기시험장 등 지역특성에 적합하고 미래 준비를 위한 지역 전략 사업 육성 등 지역 경쟁력 강화
2025년도 재정운영 방향
- 민생경제 회복 및 지역경제 활력 제고
- 전통시장 활성화 지원, 소상공인 특례보증 이차보전금 지원, 여성․노인․청년일자리 사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 지역경제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업단지 조성, 농촌신활력플러스 사업, 기초생활거점 육성사업 추진과 원도심 상권활성화와 도시재생사업 추진으로 농촌지역과 구도심의 활성화
- 더 두텁고 촘촘한 지원을 통한 지역사회 돌봄체계 구축
- 생계급여 확대·기초연금 인상, 장애인·한부모 가족에 대한 촘촘한 지원과 공공산후조리원, 맘지원센터 등 양질의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 고독사 예방 및 사회적 고립 가구 지원과 시민과 함께하는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위기가구 발굴 및 돌봄 강화로 생애 전주기에 대한 생활복지 확대
- 안전한 살기 좋은 지역사회 조성
- 자연재해 위험지구 개선사업, 풍수해 대비 복구, 재해예경보시설 설치 등 시민 안전예방 및 재산보호
- 도로ㆍ교량ㆍ하천 등 지역 SOC사업, 근린ㆍ체육공원 조성 등 정주여건 개선
재정계획 총괄
재정규모 전망
총 규모 : 8조 3,291억원
(단위 : 백만원)
구분 | 중기재정계획 | 평균신장률 | |||||
---|---|---|---|---|---|---|---|
계 |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계 | 8,636,833 | 1,652,786 | 1,626,803 | 1,634,524 | 1,772,909 | 1,949,811 | 4.2% |
일반회계 | 7,110,000 | 1,350,000 | 1,380,000 | 1,410,000 | 1,460,000 | 1,510,000 | 2.8% |
특별회계 | 770,900 | 164,299 | 144,690 | 126,978 | 152,270 | 182,663 | 2.7% |
기금 | 755,933 | 138,487 | 102,113 | 97,546 | 160,639 | 257,148 | 16.7% |
- 계획기간 중 재정 총 규모는 8조 6,368억원으로 연평균 4.2% 신장 전망
- 일반회계는 7조 1,100억원으로 연평균 2.8% 신장 전망
- 특별회계는 7,709억원으로 연평균 2.7% 신장 전망
- 기금은 7,559억원으로 연평균 16.7% 신장 전망
-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