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남쪽끝인 하곡. 강성. 신기. 관동. 황각. 죽방. 대방. 수동. 송평. 궁장 등 10개 마을로 이루어지는 과곡외면과, 금곡. 두곡. 상기. 중기. 하기. 래방. 배평. 광천 등 24개 마을로 이루어지는 과곡내면이라 하였다. 지례현 북단인 임평. 무릉. 임천. 월평. 임규. 단수. 마산 등 14개 마을은 상북면에, 구미. 작내. 복호. 와룡. 상거. 명덕. 대림. 미평 등 24개 마을은 하북면으로 편성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과곡외. 과곡내양면을 과곡면으로 통합하고 상북. 하북면과 대항면의 백어를 합하여 석현면으로 하였다가 김천군에 편입되었다. 1933년 홍수로 석현면 청사가 유실되자 과곡. 석현면을 통합하여 구성면이라 하고, 1934년 상좌원에 청사를 신축하였다.
구성이라 함은 지례현의 옛 별호를 따온 것이고 광복 후 1949년 김천읍이 김천시로 승격 되어 분리됨에 따라 금릉군으로 예속하였다. 1988년 조선시대 금릉군 관내에 있던 동을 리로 바꾸었다. 김천시에서 남으로 14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김천시 양천동과 경계를 이룬다.
동쪽은 지례면, 서쪽은 부항면, 서북쪽은 소백산맥을 경계로 하여 충북 영동군과 접한 산간 지대이다. 북쪽은 덕대산(811.6m)이 남쪽으로 뻗으면서 국사봉(570m)과 삼악산(454m)을 이룬다. 남동쪽으로는 가제산(682.7m)이 위치하며, 삼도봉과 우두령에서 발원한 감천이 면 중앙부의 남북으로 관류하며 그 유역이 평야 지대를 이루고 있다.
질매재에서 발원한 무릉천(5.25km)은 구미에서 감천내와 합류하고, 대항 주례에서 흘러내리는 하원천(9.25km)은 상좌원에서 감천과 합류하여 낙동강으로 흐르고 있으며 덕대산 남동 기슭의 끝부분인 석현(돌고개)은 조선시대 김산군. 지례현의 접경을 이루었다. 구성의 구(龜)는 감천의 속성을 드러내는 가장 상징적인 이름이다.
구성산성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연못 가운데 거북이 바위 전설이 있어 거북이와의 인연이 깊은 고장이라 할 수 있다. 거북이를 사투리말로 거무 혹은 거미라고도 이르는바 모음이 바뀌면 거미(거무) - 가미(가메, 가매)의 대응됨을 알 수 있다.
모두가 물을 중하게 여기는 물신숭배의 믿음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굼뜸이라 하여 거북이 구멍같이 생긴 고장에서 마을 형성이 비롯하였음을 일깨워 주는 언어 습관을 엿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과곡외면에 속한 하곡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하곡. 강성. 신기를 통합하여 하강동이라 하고, 과곡면에 속했다가 1934년 과곡. 석현면이 신설된 구성면 소관이 되었으며, 1971년 하곡. 신기를 하강 1동으로 분동하고 1988년 동을 리로 바꾸었다. 면 소재지에서 동북으로 9km 거리에 위치하며, 김천시에서 남으로 6km 지점에 있고, 3번 국도가 동남으로 통하고, 서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신기마을이 있다. 남동으로 낮은 재를 넘으면 조마면 신안리이며, 서북엔 하강 2리와 이어지고, 남으로 대방령 - 대방이재를 넘으면 송죽리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1580년 선조 13년에 김해김씨 성재가 황각골에 거주하는 성씨 중 먼저 들어와 집성촌을 이루었고, 그 뒤를 이은 화순최씨. 성주이씨. 밀양박씨의 입주로 이웃한 마을 중 가장 큰 마을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과곡외면에 속한 황각. 중리. 관동. 냉수정이었는데, 1914년 양지. 지산(모산)과 통합하여 양각동이라 하였고 과곡면에 속하였다가, 1934년 석현면과 합쳐진 구성면 관내에 편입되었으며, 1971년 황각. 중리. 관동. 양지. 냉수정이 양각 1동으로 분동하고, 1988년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면소재지에서 11km 거리 북쪽 지점에 위치한 촌락으로 3번 국도에서 2km 서쪽 야산 구릉지대에 있는 황각. 관동. 중리. 냉수정 마을로 이루어지는 과수원 고장이다. 북쪽으로 고성산 지맥이 동서로 둘러 병풍처럼 성곽을 이루고, 서쪽은 양각 2리, 남쪽은 하강과 인접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과곡외면에 속한 평전동인데, 1914년 진흥. 외고. 내고와 통합하여 흥평동이 되고 과곡면에 속하였다가, 1934년 석현면과 합쳐진 구성면에 편입되었으며, 1971년 평정을 흥평 1동으로 분동하였고, 1988년 동을 리로 고쳤다.
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8km 지점에 위치한 오지 산촌으로 동북쪽으로 덕대산(811.6m)이 대항면과 경계를 이루며, 서쪽으로 대항면 대성, 동쪽에 황악산의 원맥인 국사봉(570m)이 솟아있고, 남쪽으로 상거리와 인접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과곡외면에 속한 마을이 궁장. 덤밑. 연화. 고목. 백일대였는데, 1914년 대방. 송평. 죽방과 과곡내면의 내방. 광천 일부를 통합하여 송평과 송방의 한자씩을 따서 송죽동이라 하고 과곡면에 편입되었다. 1934년 석현. 과곡면을 합하여 구성면 관할이 되었고, 1971년 덤밑. 궁장. 고목. 백일대. 개정지를 송죽 1동으로 나누었고, 1988년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3번 국도를 따라 3.5km 떨어진 감천 냇가의 도로변에 산재한 궁장. 덤밑. 개정지. 백일대 마을로 이루어진다. 동쪽은 송죽재를 넘으면 송죽 2리로 이어지고, 동남쪽은 광명리와 금평리를 접하고, 북쪽은 흥평리다. 구성중학교와 송죽휴게소가 자리하여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과곡내면에 속한 기로동. 배평마을이었는데, 1914년 광천. 내방. 덕마루. 봉대를 합하여 광동명이라 하여 과곡면에 속하였다. 1934년 석현면과 과곡면을 통합한 구성면 소관이 되었으며, 1971년 상기. 중기. 하기. 배평. 도현을 광명 1동으로 나누었고, 1988년에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1936년 병자년 수해 때 많은 가옥이 유실되고 수십명의 인명을 잃은 마을 사람들이 도현 - 도미지에 새터를 마련, 정착하여 생긴 마을이다. 면소재지에서 동남으로 5.5km 떨어진 감천 유역에 이루어진 넓은 평야지대에 산재한 5개 마을(상리, 중말, 하촌, 도현, 배평)로 송도봉. 연암봉이 서쪽에 솟아 있고 감천이 촌전역을 안고 흐른다.
상리는 선산여씨, 중말은 고성이씨. 인천이씨. 하촌은 성산배씨. 고령신씨의 집성촌이었으나, 1936년 병자 홍수로 대부분 집을 잃고 고장을 떠났다. 기동은 조선시대 김산 5대 반촌의 하나였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면소재지에서 남쪽으로 8km 떨어진 초남단 산간오지에 위치한 금곡. 광수 마을로 동쪽으로 가제산(682.7m), 서쪽으로 송림산(560.7m)이 에워싸고, 남서쪽으로는 지례면과의 경계를 이루었고, 동쪽으로는 금평 2리다. 임진왜란과 일본의 강점기에 일본의 침략에 항거한 여대로(呂大老). 여중룡(呂中龍)과 같은 선열이 나온 곳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구미. 방산과 상북면에 속한 무릉리였는데, 1914년 이를 통합하여 구미리라 하고 김천군 석현면에 편입되고, 1934년 구성면 소관이 되었다. 1933년 계유년 홍수에 석현면 청사가 떠내려 갔다.
석현면과 과곡을 합하여 구성면이라 함은 지례현의 구호인 구성(龜城)을 인용한 것이다. 석현면 옛 청사는 구미리에 있었고, 조선 초기에는 지례현 청사인 동헌이 이곳에 있었다 하며, 지례현 관할 전역의 마을을 구미리라 했다 한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4km 떨어진 3번 국도변에 위치한 구미. 방산. 무릉으로 이루어진다. 감천변에 발달한 평야가 동쪽으로 펼쳐지고, 남쪽으로 무릉교가 지례면과의 경계선에 놓여 있고, 동쪽으로 감천을 건너면 미평리이다.
지명의 분포로 보면 아홉 구(九)- 계열의 이름이 많이 나온다. 역리학의 영향으로도 보이나 그 기원은 거북구(龜)로 봄이 온당할 것으로 본다. 여기의 구미나 선산의 구미나 다를 바가 없다. 선산의 구미만 하더라도 자료에 따라서는 원수 구(仇)를 쓴 구미로 나옴을 보아 그런 개연성은 더 있다고 할 것이다. 거북이 아니더라도 움푹 패인 물구덩이 곧 굼뜸을 이르는 걸로 보면 좋을 것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상북면에 속한 임평리였는데, 1914년 탄동을 합하여 석현면에 속하였다. 1934년 석현. 과곡면을 합하여 새로 신설된 구성면 소관이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서남쪽으로 6km 지점인 572번 지방도로를 따라 들어간 산간 오지의 임바대. 탄동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암바대(임평)와 탄동은 2km의 거리로 서남쪽재를 넘으면 부항면 외포 마을이며, 남쪽으로 지례면을 통하는 재가 있고, 서북쪽은 임천리, 동남쪽으로는 구미리와 접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상북면에 속한 산정. 단수. 장자골. 사기점인데, 1914년에 이를 임천리로 통합하여 석현면에 속하였고, 1934년 구성면 소관이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3번국도 4km지점에서 572번 영동선 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6km 지점인 산간 오지로 도로변에 산정. 단수. 장자골. 사기점 등 4개 마을로 이루어진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고, 남쪽은 월계, 서북쪽은 마산, 동남은 임평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면 상북면에 속한 아래앞실. 웃앞실. 골마 북창촌. 사점이었는데 1914년 이를 통합하여 월계리리 하였다. 김천군 석현면에 편입되었으며, 1934년 구성면 관할이 되었다. 구성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4km지점, 3번국도에서 서북으로 572번 지방도로를 따라 7km지점인 산간 오지의 월평. 임규. 골마. 북동. 사점 마을로 이루어졌다. 아래앞실 뒷산에 장석광산이 있고, 도로 따라 서북쪽은 마산리, 남동쪽은 임평리와 접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상북면에 속한 마산. 사점이었는데, 1914년에 통합하여 마산리라 하였다. 이웃한 수부동. 질매재. 달암. 음지. 찬물내기 등 산재한 작은 마을이 이에 예속되어 석현면 관내로 편입되고, 1934년 구성면 소관이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13km 지점에 본동. 묵은점. 수부동. 질매재. 달암. 음지. 찬물내기 마을로 이루어졌다. 이 가운데 없어진 곳도 있으며, 구성면의 가장 서쪽 끝 오지로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질매재를 경계로 접하고, 동남쪽으로 572번 지방도로를 따라 임천. 월계. 임평리로 이어진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장천, 관평이었다. 1914년 양지촌. 평지촌을 함께 통합하여 작내리라 하여 석현면에 예속시켰다가, 1934년 구성면 관내가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3km지점 3번국도에서 서쪽으로 1km 들어가는 들판에 새터. 양지마. 평지마. 울안마을로 이루어졌으며, 서쪽은 용호리로 이어지고, 동쪽은 구미리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복호. 와룡이었다. 1914년 각골. 신기(새터)를 통합하여 용호리라 하고 김천군 석현면에 편입되었다가, 1934년 구성면 관할이 되었다. 면소재지에서 남쪽으로 3km지점인 3번국도에서 갈라져 서쪽으로 2km떨어진 곳에 와룡. 각골. 상복호. 하복호. 새터 마을로 이루어졌다. 동쪽은 작내, 서쪽은 임천리이며, 북쪽은 골짜기로 들어가면 상거리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복교. 저평. 명덕이었다. 1914년 대림. 나속과 김산군 대항면 백어를 통합하여 상거리라 하여 석현면에 편입되었다. 1934년 구성면 소관이 되었고, 1971년에 복교. 저평. 명덕. 나곡과 대항면에 속했던 백어동을 통합하여 상거리로 하였다.
면 소재지에서 서북쪽으로 4km 떨어진 오지에 산재한 복교. 저평. 명덕. 나곡 마을로 이루어진다. 대항 사이의 군도가 복교, 저평을 지나며, 복교에서 서편으로 갈려 들어가면 명덕과 나곡이 있다. 서쪽으로 대항면 대성리와 접하고, 북쪽으로 흥평 1리(평밭), 동쪽으로 상좌원인 면 소재지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상좌원인데 때로는 상원 또는 좌원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상북면. 하북면을 통합한 석현면에 편입과 동시 상좌원과 도동(들 은들), 원앞(주막뜸)을 통합하여 하원리가 되었다.
1933년 계유년의 홍수로 구미에 있는 석현면 면청사가 떠내려 갔으므로 석현 과곡면을 합하여 지례현의 옛 이름인 구성이라 하고, 면청사를 1934년도 원앞에 신축하였다. 광복을 전후로 십여차례 마을이름 되돌리기를 호소하다가 1983년 말에 원래의 동명인 상좌원이 되었다.
구성면 행정복지센터를 비롯한 공공기관이 있는 면의 중심지이며 옛 금릉군의 대표적인 반촌으로 학자를 비롯하여 큰 인물이 배출되고, 서원. 서재. 학당이 있는 학문의 고장으로 마을 위에 굴암천석과 마을 아래 삼응대며 마을 앞 감천변에 수림이 우거져 유원지로 붐비며 옛집이 많아 고색이 창연하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원기-원터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원기. 두릉 (마드리). 수도곡(무티실)을 합하여 상원리라 하였으며 석현면 소관으로 되었다. 1934년 석현면과 과곡면을 통합한 구성면에 속하였다.
수도곡은 원래 무티실로 조선시대 이전에는 수다곡소(水多谷所)로 김산현 관내에 속했다 이말정이 한성부 명례방(필동)으로부터 1451년 (문종 원년)에 낙향하여 지품에서 거주하다가 거창 모질로 이주하였다가 다시 지품으로 돌아와 사망하여 원기 뒷산에 묻혔다. 그의 아들 오형제가 상경하고 요직에 있다가 연안군(숙기)의 차남인 진사 이제칙이 원터에 정착한 뒤 그의 자손의 집성촌이 되었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국도를 따라 1km 지점에 안마을이 상좌원과는 황계천을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갈라 사는 사대부의 반촌이었다. 방초정. 정려각. 최씨담은 마을위상을 높이고, 앞으로 넓은 들이 펼쳐지며, 마을 뒤에 최근까지 백로가 서식하는 곳으로 동쪽에 감천이 흐른다. 감천을 따라 국도가 지나가며, 우측 마드리는 냉천이 유명하고 마을 입구에 수강이 라 석면에 새개 있고, 서쪽 떨어진 골짜기에 수도곡이 있으며, 감천 건너편이 바로 지품(미평 2리) 이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지례현 하북면에 속한 미평리였다. 1914년에 지품과 운동을 병합하여 미평리라 하고 석현면에 속하게 되었고, 1934년에 구성면과 관내가 되었다.
1971년 미평 1리로 분동했다. 면 소재지에서 남쪽으로 3km 떨어진 송림산 아래 자리 잡은 야산 마을로, 앞으로는 감천이 흐르고 천변을 따라 3번국도가 남북으로 지나고, 동쪽은 송림산을 경계로 송죽과 광명, 북쪽은 상좌원과 원기. 서쪽은 구미. 지례면 교리를 접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