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원전 82∼57년에는 변한(弁韓)시대의 12국가 중 주조마국(走漕馬國) 또는 졸마(卒麻. 일본 서기)라 일컬었다가 742∼756년에 신라시대는 상주목 개령군에 속한 조마부곡으로 들어 앉고 1781년에 와서 금릉지에는 김산군 조마남면(助馬南面)으로 적혔다.
1914년 김산군 조마남면 21개동을 4개동으로, 김산군 남천면 10개동을 3개동으로 통합하고 2개면을 합면하여 김천군 조마면으로 개칭하였다. 조마면은 강곡동. 장암동. 신안동. 신곡동. 삼산동. 대방동. 신왕동이 되었다. 1948년 8월 13일에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으로 개칭하였다.
1962년 3월 26일 행정구역 7개동을 18개동으로 나누었으며, 다시 1971년 7월 1일에 행정구역 18개동을 19개동으로 나누었다. 1988년에 이르면 각 동을 모두 리로 개칭하였다.
김천의 남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감천면과 성주군 벽진면, 남쪽으로는 지례면과 성주군 금수면, 서쪽으로는 구성면, 북쪽으로는 김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조마면의 북부 지방에는 감천 중류에 발달한 도암돌. 장암들. 신안들 등 넓은 들이 많지만 남부는 산악지대로 농경지가 적으며, 남쪽 끝에는 염속산(870m)이 우뚝 솟아 산의 좌측에는 산지맥이 동북으로 북주하면서 염속산과 글씨산(540m). 고당산 등 산봉우리가 솟아 있고, 산의 우측으로는 산지맥이 서북쪽으로 북주하면서 연석봉(594m). 동대산. 신달이산. 불두산(470m) 등의 산 봉우리를 틀면서 뻗어 가다가 감천 냇물에 가로 막힌다.
염속산을 발원으로 남천이 북으로 흐르면서 감천에 합류한다. 조마면의 입구인 신안. 장암. 도암은 구성면 대덕산(811m) 동쪽 나직한 산자락을 등지고 앞으로 감천을 끼면서 면 최대의 비옥한 들을 형성하고 있다. 감천(甘川)을 이두식으로 읽으면 감내가 된다. 지명의 분포로 보아 감내는 중앙천의 뜻으로 보아 온당할 것이다. 그러니까 감천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터전이요, 삶의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남천면(건천면)에 속한 수왕. 박리. 용암이라 불렀다. 1914년에 신계. 송정. 박리. 수왕. 용암을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신왕동이라 개칭하였다.
1962년에 박리. 수왕. 용암을 신왕 1동으로 나누었다가 1988년에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박리. 수왕 두 마을 뒤로는 염속산(厭俗山. 870m) 지맥이 동북으로 치닫으면서 염속산과 글씨산(540m) 봉우리를 이룬다.
감천면 고당산(597m)을 향해 다시 북으로 뻗었으며, 박리 마을 서쪽들 건너편의 용암마을 뒤로는 염속산 지맥이 북주하여 흰닭뫼(白鷄山. 469m) 봉우리를 이룬 산자락을 등지고 수왕. 박리 두 마을과 용암마을 사이로 염속산에서 발원하는 대방천이 감천을 향해 북류하며 그 냇물을 따라 997호선 지방도로가 성주군과 김천시를 남북으로 지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남천면에 속한 옥계. 유촌. 수방. 사점이라 칭하였으며 1914년에 성궁. 가곡. 대평. 원곡을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대방동이라 개칭하였다.
1948년에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 대방동이라 고쳤다. 1962년에 옥계. 유촌. 수방. 사점을 대방 1동으로 분동하였고, 1988년에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대방 네 마을 뒤로는 염속산 지맥이 북으로 뻗은 동대산과 백계산이 산봉우리를 지어며 삼정리 마을 앞에 멈춰서고, 또 그 앞으로는 염속산 지맥이 동북으로 뻗어 염속산과 글씨산 봉우리를 지으며 감천면 고당산으로 이어진다.
그 동과 서의 사이를 염속산과 염속산 산자락에서 발원하는 냇물이 북류하면서 대방천을 이루고, 그 냇물을 따라 997번 지방도로가 성주군과 김천시를 남북으로 지난다. 그 도로를 따라 살티재 부근에 사점마을이 있고, 2km쯤 북쪽으로 수방마을, 또 2km 쯤 북쪽에 유촌과 옥계 마을이 자리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조마남면 구곡이라 칭하였다. 1914년에 강평과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강곡동으로 고쳐 부른다. 1948년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 강곡동으로 개칭하였다.
1962년에 구곡과 월곡을 강곡 1동으로 분동하였으며 1988년에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마을 뒤로는 14km 남쪽에 있는 염속산 지맥이 북으로 신곡 1, 2, 3리, 강곡 2리를 거쳐 마지막으로 마을 뒤 불두산(470n)의 산봉우리를 만들고 다시 북쪽으로 뻗어 월곡에서 감천내에 가로막혀 멈춰선다. 마을 앞으로는 12km 남서쪽에 있는 가제산(687m)의 지맥이 북쪽으로 뻗으면서 강곡 2리를 거쳐 마을 서쪽 저멀리 도롱골 뒤에서 감천내에 가로막혀 멈춰 있고, 마을 서북쪽 저 멀리는 구성면 덕대산의 동쪽 나직한 산자락이 장암 1, 2리를 감싸 안으면서 도암들. 장암들. 금단이들 등 큰 들을 이루며 멈춰 선다. 염속산 서쪽 산자락과 가제산 동쪽 산자락을 발원으로 하는 강곡천이 산줄기를 따라 신곡, 강곡 2리로 북류하면서 마을 앞에서 감천에 합류하고, 강곡천을 따라 901호 지방도로가 성주군 금수면과 김천시를 남북으로 마을 앞을 지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고려시대에는 성주목에 속한 신곡부곡(新谷部曲)이었는데, 조선시대에는 성주목 신곡면(薪谷面)에 속한 신석동(新石洞)이 되고, 1906년에 신곡면이 김산군에 편입되고, 1914년에 나부. 마와. 마곡. 철수. 중리. 신석. 백화동을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신곡동으로 개칭하였다. 1948년에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 신곡동으로 개칭하였으며, 1962년에 나부리. 마아리를 신곡 1동으로 개칭하였다. 1988년 동을 리로 개칭하였다.
나부리 마을 뒤 가제산(687m) 서남쪽 산자락을 배경으로 하고 남동으로는 꿀재를 거쳐 염속산 산마루가 마주 보이며, 마아리 마을은 마을 뒤로 염속산 산자락을 등지고 앞으로는 가제산 정상을 바라보면서 두 마을이 1km쯤 거리를 두고 남과 북에 자리 잡았고, 마을 동남으로 염속산과 서로 가제산 사이를 꿀재가 조마면과 지례면의 경계가 된다. 이곳에서 강곡천이 발원되어 감천을 향해 북류하고 그 냇물을 따라 901번 지방도로가 성주군 금수면과 김천시를 남북으로 지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고조선시대에는 김산군 남천면에 속한 누산. 삼정리라 칭하였다. 1914년에 누산. 삼정리를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삼산동으로 개칭하였으며, 1948년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 삼산동으로 개칭하게 된다. 1988년 동을 리로 고쳤다.
누산 마을 앞으로는 염속산 지맥이 북으로 뻗어와 신달이산(469m)과 흰닭뫼 봉우리를 짓고 다시 북동으로 뻗어 남천 내를 경계로 하면서 삼정리마을 동남쪽에 머물렀다.
누산 마을 뒤로는 흰닭뫼에서 그 지맥이 다시 서북으로 뻗어 오두재를 거쳐 불두산(470m) 봉우리로 솟아 삼정 마을 뒤를 거쳐 강곡 1리를 경계로 하면서 감천에 가로막혀 멈췄고, 그 사이를 흰닭뫼를 발원으로 한 삼선천이 북류하고, 그 내를 따라 일차선 도로가 신곡 중리마을 앞 901번 지방도로와 신왕 하신기마을 앞 997번 지방도로를 동북으로 통하고, 누산마을 뒤로는 누산고개를 거쳐 면 소재지에 이어지는 일차선 도로가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조마남면에 속하였고, 상장. 하장이라 불렀다. 1914년에 도암. 예동. 점동을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장암동이라 고친다. 1948년에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 장암동으로 개칭하였으며 1962년에 상장. 하장을 장암 1동으로 나누었고 1988년에 동을 리로 고쳤다. 마을 앞으로는 감천 냇물이 천천히 북류하면서 남으로는 강곡 1리, 동으로는 감천면, 북으로는 장암 3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마을 뒤로는 구성면 덕대산(811m) 동쪽 나직한 산자락이 멀리 뻗어와 장암태를 이루며 도암을 경계로 하고, 그 지맥 이 마을 뒤쪽 배경을 이루면서 마을 앞 넓은 장암들을 이루고 있다. 마을 바로 앞으로는 901번 지방도로가 성주군 금수면과 김천시를 남북으로 지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김산군 조마남면에 속한 죽정리라 불렀다. 1914년에 죽정. 신동. 구미. 지동. 신하. 안서. 신기. 신촌을 통합하여, 김천군 조마면 신안동이라 칭하였다.
1948년에 김천군 김천읍의 김천시 승격으로 금릉군 조마면 신안동으로 고쳤다. 1962년에 행 정구역 7개 동으로 분동하면서 죽정을 신안 1동으로 개칭하였다. 1988년에 동을 리로 개칭 하였다.
마을 앞 동쪽 건너편에는 감천 냇물이 천천히 북류하고, 남으로는 신안 2리, 동으로는 감천면, 북으로는 김천시와 경계를 이룬다. 마을 뒤 서편으로는 구성면 덕대산(811m) 동쪽 나지막한 산자락이 멀리까지 뻗어내려 배산임수(背山臨水)를 이룬다. 마을의 약 1km앞으로 901번 지방도로가 냇물을 따라 성주군 금수면과 김천시를 남북으로 지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