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에는 개령현에 속한 옥산. 봉천. 오봉. 초곡. 운남. 용전 마을을 거느리는 적현면(赤峴面)과 송곡. 운곡. 월명. 부상 마을을 거느리는 남면의 2개 면이었는데,1914년에 통합하여 남면이라 하고 10개동을 관할하였다. 1916년 운남동 종상에 있던 적현면 행정복지센터를 폐쇄하고 옥산에 남면 행정복지센터를 신설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김천시 동쪽에 자리하면서 금오산이 막아서서 그 동쪽은 칠곡군과, 서쪽은 평야지에서 농소면, 남쪽은 비백산과 백마산, 성주군 초전면과 경계를 이룬다. 서원동이 송곳같이 뻗어 그 끝이 감천에 이르고 그 건너편은 개령면과 이웃한다. 중앙부에 운남산(376.8m)과 절골산(380.4m)이 나란히 솟고, 남쪽에는 선대봉(465.8m)과 사모실산(260.4m)이 나란히 솟는 사이에 오리내(川)가 북으로 흐르면서 봉천동에 평야지를 이루고 오봉저수지가 만들어져 땅을 기름지게 하고 있다. 동쪽은 금오산이 높게 솟아 구미와 경계를 이루고, 서쪽 농소면과의 사이에는 송곡천과 율곡천으로 평야지가 발달하였다. 대체로 남면은 평야지대로 곡창을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적현면(赤峴面)에 속한 옥산동인데, 1914년 지산. 석정을 통합하여 옥산동이라 하고 남면에 속하였으며, 1916년 남면 행정복지센터를 운남동에서 이곳으로 옮겼다. 1971년 옥산 마을을 분리하여 옥산 1동이 되고, 1988년 동을 리로 고쳐 옥산 1리가 되었다. 4번 국도변 팔미에서 북으로 갈려 들어가서 400m 지점 평야지에 위치하는 남면 행정복지센터 소재지로서 각종 기관단체가 있다. 동쪽은 노고봉(346m)이 가로막고, 서쪽은 송곡천과 율곡천이 합류하면서 넓은 신강들을 안고 월곡동과 이웃하여 북쪽은 운남으로 이어진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본래 개령현 남면에 속했는데, 1914년 운양동과 마곡동의 각 일부와 연명면의 송방동 일부, 그리고 농소면의 둔곡(屯谷) 일부를 합하여 운양과 마곡의 이름을 따서 운곡동이라 했다. 1988년 동을 리로 고치면서 운곡리가 되었다. 운양리. 둔곡리의 두 마을로 구성되었다. 둔곡은 남면 소재지에서 2.8km 떨어진 4번 국도변 남쪽에 있으며, 운양리는 국도 북쪽 송곡천 냇가에 있다.
작은 평야를 제외하고는 산악지대로 동쪽은 국도를 따라 송곡리, 남쪽의 비백산이 서쪽으로 뻗어 입석동과의 사이를 이루고, 북쪽은 진골산과 운남산이 이어지면서 가로막아 운남과 경계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남면이었는데. 1914년 솔방(松坊). 살구점. 마곡(麻谷)을 합하여 송곡동이라 하고, 1971년에 솔방. 살구점을 분리하여 송곡 1동이 되었다.
남면 소재지에서 동으로 4번 국도를 따서 5km 어름 길가 남쪽에 솔방 마을이 있고, 이곳에 부상고개를 넘으면 부상리, 서쪽은 운곡리와 접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남면에 속한 신전인데, 1914년에 이웃한 운봉리. 동릉을 합하여 월명동으로 개편하고, 1971년 신전을 나누어 월명 1동으로 했다. 면소재지인 옥산 1리에서 4번 국도 동쪽 9.5km 지점에 있는 남북 저수지 옆에 있다.
금오산과 영암산이 남북을 가로 막아 좁은 골짜기가 동서로 숨통을 트고 마을 북쪽 아래로는 못이 있다. 905번 지방도로가 남쪽 성주가 통하는 갈림길에서 가깝다. 동쪽은 칠곡군과 이웃하고, 남쪽은 성주군과 인접하며 김천시 동부에 자리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1450년 무렵 조선 문종 원년에 김모씨가 마을을 개척하였다 하며, 신라시대부터 부상이라 불리었으며, 우륵이 부상에서 나는 명주실로 가야금을 만들었다 한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이곳에 부상역을 두었기 때문에 역촌이라고도 불렀다. 1914년에 인근의 모산골(池山谷). 사모실(池谷) 등 작은 마을과 지경리를 합하여 역시 부상동이라 하고, 1971년에 부상. 모산을 사모실을 따로 분리하여 부상 1동이 되었다. 1988년에는 동을 리로 고쳤다. 1957년부터 4일 9일 장이 섰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
부상은 남면 소재지(옥산 1리)에서 동으로 12.6km 떨어져 4번 국도변에 있고, 사모골. 모산골은 부상에서 남으로 2km 떨어진 골짜기에 있다. 마을 동쪽 국도변에 남북지가 있고, 부상 마을에 초등학교가 있으며, 앞산에는 백운암이 있고 산에 가로 막혀있다. 구릉지대인데 신라시대부터 근래까지 누에치기로 이름이 났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남면에 속한 오수동. 봉곡동이었는데, 1914년에 갈항동과 통합하여 오봉동이라 했다. 1971년에 모래동. 봉곡. 갈손. 오수. 원골을 오봉동에서 분리하여 오봉 1동이 라 하고, 1988년 동을 리로 고쳤다. 연봉천 냇가와 골짜기에 흩어져 있는 모래동. 봉곡. 갈손. 오수. 원골 5개 마을로 이루어졌다.
동은 제석봉의 남주맥이 막아 대성동과 경계하고, 그 골짜기에 갈손. 오수마을이 있으며, 남은 금오산과 절골산이 맞닿으면서 그 사이의 갈항 고개를 넘으면 부상에 이른다. 중앙에는 연봉천을 막아 오봉 저수지를 만들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적현면에 속한 연봉리이다. 그 이전에는 우리말로 설개라고 하고 한문으로 설광으로 적었다. 1914년에 샘골(泉洞)과 합하여 봉천동이라 하고, 남면 관할이 되었다. 1971년 연봉을 나누어 봉천 1동이 되고, 1988년 동을 리로 고쳤다.
남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6km 떨어진 평야지대로, 동쪽은 연봉천(오리내)이 북으로 흐르면서 넓은 봉천들이 이루어지고, 내 건너는 제석동이고, 남쪽은 낮은 산이 들 가운데에 앉았고 서쪽은 들로 봉천 2리(泉洞)로 이루어지고, 북쪽은 대신리와 이웃한다.
설 - 살 - 사이의 대응으로 보아 지역을 경계하는 사이로 흐르는 냇물을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적현면에 속한 초곡인데, 1914년 서원마을을 합하여 초곡동이라 하고 남면에 편입되었다. 1988년 동을 리로 고쳤다. 남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4km 떨어진 야지에 있는 초곡. 서원 마을이다. 초곡의 동쪽은 비봉산이 가로막고, 서쪽은 율곡천이 북류하여 감천에 합류한다.
서원마을은 송곳같이 남면의 북단에 뻗어 끝이 감천에 닿았다. 남서쪽에 동북으로 고속도로와 경부선 철도 및 구미 - 김천간 도로가 통과하고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1460년 조선 세조 5년 밀양박씨인 박수언이라는 선비가 이 마을을 개척하여 용밭이라고 불렀으며, 그 후손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적현면이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천군 남면 용전동으로 칭하고, 1949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금릉군 남면 용전동으로 되고, 1988년 동을 리로 바꾸었다.
면 소재지로부터 3km 떨어진 마을로서 옥산과 초곡의 갈림길인 뚱고개에서 1.5km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쪽으로 자연 마을 우래를 두고, 북쪽으로는 1km 쯤 종상을 두며, 금오산초등하교를 옆에 끼고 있는 마을로 특히 김천과 오봉간 버스노선인 도로가 마을 중앙으로 지나고 천동으로 가는 도로의 갈림길에 자리한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적현면에 속한 종상동인데, 1803년에 부임한 개령 현감의 이름이 종상(從祥)으로 마을 이름이 수령의 이름과 같다 하여 마을 이름을 경호동으로 바꾸었다가 퇴임 후 다시 종상으로 환원했다. 1914년에 종상을 주축으로 석정동과 이웃한 지산. 용전의 일부 지역을 합하고 운남산의 이름을 따서 운남동이라 하고, 1971년 종상을 나누어 운남동으로 하고, 1988년에 동을 리로 고쳤다.
면 소재지에서 북동쪽으로 4km 떨어진 야산지대에 있는 큰 마을이다. 마을 남쪽에 용전에서 오봉으로 가는 길이 있고, 남쪽에 운남산이 막아 섰으며, 동쪽은 봉천리와 이웃하고, 서쪽은 용전과 인접해 있다. 마을 동쪽 산 모통이를 돌면 공동묘지가 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