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동부 2리 마을 입구 유동산 옆에 자리하고 동부연지는 옛 감문국 궁궐에 속해 있던 연못으로 규모는 축소되었지만 일부가 남아 현재까지 남아 있다. 동부 2리 마을은 삼한시대 변한(弁韓) 12국의 하나인 감문국의 도읍(都邑)으로 서기231년 신라의 전신인 사로국(斯盧國)에 의해 멸망된 후 감문군과 감문주가 설치되었다. 동부연지와 함께 감천으로부터 마을을 보호하기위해 개령현감 김숙자(金淑滋 1389-1456)선생이 심었다는 연못 앞의 고목 버드나무가 마을의 자랑거리 이며, 2009년 참 살기좋은 마을가꾸기 사업을 통해 장승, 주민소망탑, 배드민턴장을 정비하여 옛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양천리고분
위치김천시 개령면 양천리 376-1번지
내용이 고분은 250㎝×120cm, 높이 120cm규모로 화강암을 다듬어 2~3단으로 4면의 벽을 쌓고 상단을 3개의 판석으로 덮은 석실(石室) 고분으로 벽면에 형태를 알 수 없는 채색(彩色)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규모와 양식으로 보아 삼한시대 소국(小國)인 감문국(甘文國)이 멸망하여 신라에 편입된 이후 삼국시대에 이 지역을 통치하던 지배층의 무덤으로 보인다. 1967년 발견 당시 석실(石室) 내부에서 갑옷 , 칼, 금제 귀걸이, 구슬, 토기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어 경주국립박물관 등에 보관되어 있다.
내신정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리 387번지
내용내신정은 개령지방에 향약(鄕約)을 보급하고, 회합의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건립된 향약소(鄕約所)이다. 내신정 향약안(鄕約案)에 의하면 개령면 동부리 출신의 허석(許襫)이 개령, 감문, 어모, 아포, 남면 일대의 유지(有志)들과 협의하여 1904년 향약을 정비하고 기금을 조성하여 현 위치에 내신정을 세웠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김천지방의 향약소로는 내신정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향약은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규(禮俗常規), 환난상휼(患難相恤)을 4대 덕목으로 하는 권선징악과 상부상조를 목적으로 만든 향촌(鄕村)의 자치규약(自治規約)이다.
개령향교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1길 78-27
내용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으로 개령향교는 조선 성종4년(1473년)에 관학산 밑에 처음 지었는데, 광해군(재위 1608~1623년)때 동쪽으로 옮겼다가 헌종 3년(1837년)에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겨 지은 것이다. 일제시대 폐교되어 금산향교에 합쳐졌다가 1946년 복원하였고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교육 공간인 명륜당과, 공자를 비롯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으로 이루어졌으며 앞면 4칸, 옆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계림사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1길 212
내용감문산 중턱에 위치한 계림사는 신라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진다. 「감주계림사개건기」또는「계림사사적기(1954년 현판 필사)」등의 기록에 따르면 감문산 계림사 일대의 지형은 호형(虎形)으로 산세가 드세어 좋지 않은 사건이 잦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절을 짓고 닭 1천마리를 길렀으나 닭이 자꾸 폐사를 하여 아예 절 이름을 계림사로 하였다고 한다. 계림사가 위치한 감문산에는 명당이 많지만 절의 산내에서는 묘를 개설치 않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즉 묘를 쓰면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다는 쌍샘(동부리 입구에 있었던 샘)의 우물이 변하여 마실 수 없게 되므로 밀장을 금하였다고 한다. 1832년(순조 32년)에 성일(性日)이 중창하였고, 1922년 춘담(春潭)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며, 건물로는 대웅전과 응향각,칠성각,요사가 있다.
감문산성지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리 산9번지
내용삼한시대(三韓時代) 소국(小國)인 감문국(甘文國)을 지키기 위해 쌓은 산성으로 감문산(해발 320m)의 능선을 따라 길이 1,334m, 높이 2.5m, 내외로 축조(築造)된 토성(土城)이다. 성내(城內)에는 구릉지를 통해 올라오는 적의 공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쌓은 초소에 해당하는 초승달 형태의 치성(雉城)과 3곳의 망대(望臺), 봉수대(烽燧臺), 집수지(集水址), 군창지(軍倉址) 등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감문산성은 주변 세력과의 전쟁으로부터 백성을 보호하는 배후의 피난처이자 감천(甘川)의 수로(水路)와 추풍령(秋風嶺) 등으로 연결되는 주변 교통로를 감시할 목적으로 축조(築造)된 것으로 보인다.
팔승정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길 59-14 면행정복지센터 전정
내용개령면 서부리 남산(南山), 속칭 정자말랭이로 불리는 산에 세워졌던 팔승정(八勝亭)은 1900년대 초 동부리 개령현관아 앞으로 이전되었다. 세월이 흘러 정자가 퇴락하자 일제시대 개령면장 허혁(許赫)이 팔각정(八角亭)이란 이름으로 바꾸어 팔각 형태로 신축했다가 1936년 수해 때 붕괴되고 홍종익(洪鐘翼)면장이 다시 세웠으나 또 다시 퇴락해 방치되자 1977년 1월 백형주(白亨周) 면장이 정자보수를 위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금릉군의 보조금과 면민의 성금으로 대대적인 보수를 하면서 다시 옛 이름인 팔승정으로 환원했다. 팔승정은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로 지붕은 골기와를 이은 팔작지붕의 형태로 바닥면적은 16.32㎡이며 바닥으로부터 지붕 상륜부까지의 높이는 5.3m이며 예부터 정자가 아름답고 주변 경치가 수려해 많은 시인묵객들이 들러 시를 남겼는데 현감 장진환과 선비 홍가상이 쓴 시가 유명하다.
비석거리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리 261-3번지
내용개령면 동부리 옛 개령관아(開寧官衙) 앞 속칭 비석거리에 소재한 20개의 비석은 18세기 초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역대 개령현감, 군수(郡守)의 선정비(善政碑)와 말에서 내릴 것을 알리는 하마비(下馬碑), 농수로인 보(洑) 관리책임자 등의 공적비(功績碑)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순상국이공경재백세불망비(巡相國李公景在百世不忘碑)의 주인공인 이경재(李景在)는 고종 (高宗)때 영의정을 역임한 조선후기의 문인(文人)으로 상국(相國), 즉 정승(政丞)이 개령지방을 순시(巡視)하고 간 것을 기념해 세운 특이한 비석이다.
서부리 고탑
위치김천시 개령면 서부리 501-3번지
내용서부리 마을 뒤의 호두산 아래 골짜기에 탑의 일부분이 남아 있었는데 주변에서 통일신라시대, 고려, 조선에 이르는 기와조각과 자기조각들이 발견되어 사찰이 조선 중기까지는 존재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탑신(塔身)의 1층과 2층의 부재만 남아 있었는데 남아 있는 1층 지붕돌은 네 귀퉁이가 살짝 치켜 올라갔고, 두께도 얇으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이 있어 전형적인 3층 석탑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탑이 자리했던 골짜기가 임진왜란 당시 왜병의 진로였다는 설이 있어, 그때 탑이 무너졌던 것으로 보이며 폐탑이던 것을 현재는 복원하였다.
등산로
위치김천시 개령면 동부리 산6번지 일대
내용개령면행정복지센터에서 출발하여 감문산의 정상인 취적봉, 계림사를 거쳐서 동부2리 마을로 이어지는 총 거리 4.2㎞의 등산로는 호두산 등산로, 감문산성지, 108계단 등의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등산로 초입의 호두산(호랑이 머리를 닮은것에서 유래) 순환코스는 총 800m로 대나무숲길과 소나무숲길로 나누어진 것이 특징이며 평지부분에는 운동기구와 벤치 등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감문산 취적봉(해발 320m)까지 1.8㎞를 오르면 정상 부근에서 감문국 시대의 토성의 흔적인 감문산성지를 접할 수 있고 멀리 금오산과 감천까지 관망이 가능하다. 개령향교가 위치한 동부2리 마을 쪽으로 1.6㎞의 하산 구간에 설치된 108개의 계단은 '나 자신을 생각하면서', '가족을 생각하면서', '친구를 생각하면서' 걸을 수 있는 3구간으로 나누어져 있다.
빗내농악전수관
위치김천시 개령면 빗내길 118 (문의전화 : 420-6438)
내용빗내마을에서 전승되어 오는 농악으로서 빗내(廣川)마을은 삼한시대 감문국에 속했으며, 넓은 개령들을 앞에 두고 뒤에는 감문산성의 성터가 있으며 군사를 동원할 때 나팔로 신호했다는 취적봉이 있는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고장으로 개령면 광천리의 다른 이름이다. 빗내농악은 옛 감문국의 "나랏제사"와 풍년을 기원하는 "빗신제"가 혼합하여 동제(洞祭)형태로 전승되었는데 가락이 강렬하여 타 굿판과는 명확한 차이가 있으며, 모두 12마당(골매기굿, 문굿, 마당굿, 영풍굿, 판안다드레기, 기러기굿, 허허굿, 쌍둥이굿, 판굿, 영산다드레기, 진굿, 상사굿)으로 구성되어 있다.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