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록빛
감성여행
김천
김천시청
통합검색
힐링관광
힐링관광
권역별관광
직지사권
수도계곡권
도심ㆍ감문국권
부항댐권
테마여행
체험여행
농장체험
김천의 산과 길
나이트투어
모바일스탬프투어
여행가이드
여행가이드
관광안내지도
김천관광지도
도로망지도
맛있는 김천
편안한숙박
교통정보
시외버스
시내버스
고속버스
KTX/일반열차
인천국제공항
문화관광해설사
해설사안내
관광홍보물신청
공공wifi
관광택시
문화/축제
문화/축제
스포츠행사일정
문화·행사 소식
역사/문화재
역사/문화재
김천 History
김천 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학 속 김천
지명유래
김천의 마을 이름과 감천
김천의 위치 및 자연환경
마을의 이름과 유래
사지에 관련한 지명
명품특산물
명품특산물
예술공예품
전통시장
농특산물
새소식 / 후기
새소식 / 후기
김천여행뉴스
김천여행후기
초록빛
감성여행
김천
김천시청
산업경제
힐링관광
힐링관광
권역별관광
직지사권
수도계곡권
도심ㆍ감문국권
부항댐권
테마여행
체험여행
농장체험
김천의 산과 길
나이트투어
모바일스탬프투어
여행가이드
여행가이드
관광안내지도
김천관광지도
도로망지도
맛있는 김천
편안한숙박
교통정보
시외버스
시내버스
고속버스
KTX/일반열차
인천국제공항
문화관광해설사
해설사안내
관광홍보물신청
공공wifi
관광택시
문화/축제
문화/축제
스포츠행사일정
문화·행사 소식
역사/문화재
역사/문화재
김천 History
김천 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도지정문화재
문학 속 김천
지명유래
김천의 마을 이름과 감천
김천의 위치 및 자연환경
마을의 이름과 유래
사지에 관련한 지명
명품특산물
명품특산물
예술공예품
전통시장
농특산물
새소식 / 후기
새소식 / 후기
김천여행뉴스
김천여행후기
검색범위 선택
통합검색
직원검색
메뉴검색
게시판
첨부문서
검색어 입력
검색
바로
가기
관광지
교통
숙박
먹거리
VR
홈
역사/문화재
문학 속 김천
역사/문화재
문학 속 김천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김천 History
김천 문화재
문학 속 김천
지명유래
현재 페이지
1
/ 전체 페이지 1
게시판 검색
검색구분 선택 :
10개
20개
30개
50개
제목
작성자
내용
검색어 입력: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와 지례(知禮)
작성일 : 2018-07-12
작성자 : 정효정
조회수 : 847
삼강행실도는 1436년(세종18년) 세종이 백성들의 교화를 목적으로 충신, 효자, 열녀의 모범사례를 모아 편찬한 교훈서로서 중국과 우리나라의 사례 105편이 그림과 함께 실려있다. 이중 35편이 효행에 대한 기록인데 21편은 중국의 사례이고 4편의 우리나라 효자의 사례 중 지례현의 윤은보와 서즐의 효행이 은보감오(殷...
이중환의 택리지(擇里志)
작성일 : 2018-07-12
작성자 : 정효정
조회수 : 944
조선후기 김천도찰방(역장)을 지낸 이중환(李重煥)은 김천찰방으로 재임할 때 사화(士禍)에 연루되어 파직을 당하고 유배에 처해졌는데 저서『택리지(擇里志)』에서 다음과 같이 김천지방을 평했다. 金山西卽秋風領, 領西卽黃間地 黃岳德裕以東水合爲甘川, 東入于洛東臨 川爲邑者知禮金山開寧, 善山俱享灌漑之利水 田極膏腴人民安土, 畏罪遠...
임진왜란(박종화 저, 1958)중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451
역사소설<壬辰倭亂>(박종화, 1958) 이 중에 임진왜란중 추풍령 싸움을 묘사한 대목이 있다. "황간의 의병대장 장지현(張智賢)은 천여 의병을 거느리고 추풍령에 당도하여 관군 백여명을 통솔하고 있는 방어사 조경(趙傾)과 기병 30명을 거창에서 왜적 5백을 무찌른 청년대장 정기룡(鄭起龍...
송설당선생의 금릉풍경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529
전 재산을 털어 사학 김천고등보통학교를 설립한 최송설당(崔松雪堂)은 <<송설당문집>> 3권을 남겼는데 그 가운데 <金陵風景>을 옮겨 본다. <金陵風景>(최송설당) 백두산일지맥이 동으로 뻗어나려 대소백산의 되얏으매 소백산 서북가지 속리산이 되얏난데 속리산 한줄...
장끼전에 등장하는 김천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307
고소설<장끼傳> <장끼전>은 조선시대의 소설로 작자와 연대는 미상이나 꿩을 의인화(擬人化)한 우화(寓話)이다. 즉 새들의 생활을 그려서 인간사회를 풍자했는데, 그 내용은 장끼가 까투리의 간언(諫言)을 듣지 않고 탁첨지(卓僉知)가 놓은 콩을 먹고 죽자, 까투리는 여러 새의 청혼을 물리치...
김삿갓선생의 황악산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089
김병연(金炳淵) 김병연은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호가 난고(蘭皐)이니, 속칭 김삿갓이다. 선천부사 김익순(金益淳)의 손자인데 홍경래(洪景來)난에 조부가 항복하여 가문이 몰락되자, 벼슬을 단념하고 삿갓을 쓰고 죽장을 짚고 방랑생활을 하면서 풍자와 해학으로 퇴폐하는 사회를 개탄, 저주, 조소하는 기발한 시를 쏟...
서거정선생의 기행시중 : 남면 부상리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891
서거정(徐居正)은 호가 사가정으로 본관은 달성이다. 조선 초기의 문인으로 어릴 때부터 신동이었다. 6대 임금을 섬기면서 6조(曹)판서를 거쳤고 대사헌을 두 번, 과거 시험관을 23번 지내면서 관직에 45년이나 있었다. 아래의 시는 그가 서울을 내왕하면서 부상(扶桑)에 머물면서 지은 것이다.
주세붕선생의 기행시중 : 감문과 봉계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796
주세붕(周世鵬)은 조선 중종대의 학자로 풍기군수로 있을 때 백운동서원을 세우고 안향(安珦)을 모셨는데 이것이 우리 나라 서원의 기원이다. 그가 이곳 봉계에 들렸다가 이 글을 남겼다.
매계조위선생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5863
조 위(曺偉 : 1454~1503)는 김천시 봉산면 봉계 출신으로 김종직의 처남이다. 20세에 문과를 거쳐 검열(檢閱), 도승지, 호조참판에 올랐다가 무오사화 때 순천에 유배되고 갑자사화에 부관참시(部棺斬屍) 당했다. 성종대에 "도학(道學)으로는 정여창(鄭汝昌), 김굉필(金宏弼), 유호인(兪好仁)...
김천문학의 효시 임춘
작성일 : 2013-01-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267
김천 문학은 개령현의 한골(아포읍 대신리)에 우거했던 서하(西河) 임춘(林椿, 고려 의종~명종 사이 : 1147~1197)에 의해 전개된다. 임춘이 비록 개인적으로는 불우하여 타향인 개령에 와 머물렀으나 당대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이었던 임춘(林椿)시인이 만년을 거의 이곳에서 보냈다는 사실은 김천 문...
1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
매우불만
평가
담당부서
문화홍보실
연락처
054-420-6731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