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9월 금산동을 흡수 통합함으로써 김천시에서 가장 큰 동이 되었다. 시가지 북쪽의 직지천을 건너 외곽지대의 마을은 시청이 이곳에 들어서면서 행정 중심지로 변모하고, 대단위 공업 단지가 들어서면서 공업의 중심지가 조성되었다.
음성나환자의 집단 거주지인 삼애원이 지명으로 굳어져 가고 있고 김천시민운동장과 문화예술회관이 건립되어 김천의 중심지로 발돋움해 가고 있다. 한편 조선시대 행정의 중심지이던 금산 동은 점차 쇠퇴해 오다가 이곳에 법원과 검찰청이 들어서면서 다시 활기를 되찾아 가고 있다.
신음동
시가지 북쪽의 직지천(直指川)을 건너 외곽지대에 자리한 농촌마을이다. 동쪽은 산너머 대응동 공업단지와 접하는 연결도로로 통한다. 남쪽은 직지천을 경계로 성내동 · 평화동 · 모암동 시가지와 인접하고, 서쪽은 외곽지인 금산동과 부춘산(富春山, 310m)을 경계로 인접하며 북쪽은 고개 너머 응명동과 닿아 있다.
자생 마을인 부거리 · 금신리 · 금음리는 서쪽에 부춘산을 등지고 경북선 철도변에 자리하였으며, 양계센터는 상주로 가는 국도 양편에 자리하고, 삼애원은 응봉 북쪽 기슭에 있는 음성나환자 마을로 양계를 주로 한다. 소꾸미는 직지천을 지나 선산으로 가는 길섶에 현대식 주택이 많이 들어서있다.
조선시대에는 부거리(富巨里) · 금음리(琴音里) · 금신리(琴新里)의 3개 자연부락이 김산군 군내면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이 밖에 주막촌에 불과한 소꾸미가 있었다. 1914년에 이를 통합 신음동이라 하고 신설된 금릉면에 소속되었다. 1931년 금릉면이 김천읍으로 편입되고 1960년에 신음 1동과 신음 2동으로 분할되었다가 1983년에 통합하였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부거리
- 3, 4백년 전 조씨가 처음으로 정착하여 살아온 마을로 부춘산 아래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농을 하는 부자가 많이 살고 있다 하여 부거리라 하였다.
- 금음터·금음(琴音, 今音)
- 약 3, 4백년 전 조씨가 처음 정착한 마을로 전성기에는 3백여가구가 살았다고 하나 지금은 50여 가구로 작아진 마을이다. 마을 뒷산에 있는 거문고 바위와 마을 입구의 부채 바위가 마주 보고 있어 바위에서 거문고 소리가 난다 하여 마을 이름을 금음 또는 금음터라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
- 새트·새터·금신
- 금음터 정착민들이 가세가 기울어지면서 금음터를 떠나 새로 정착한 새로운 터라고 하여 새터·금신 등으로 불러 왔다.
- 소우미·소꾸미
- 옛날 이씨 성을 가진 이가 이주하여 정착한 마을로 이 마을 뒷산의 모양이 마치 소가 누운 형상이었고, 처음에 자리 잡은 곳이 아홉 골짜기의 끝으로 소의 꼬리 부분에 해당하여 이 마을을 소우미·소꾸미라 칭하였다 한다.
- 삼애원
- 1953년 3월 28일에 만들어진 음성한센병환자 집단 거주지로 현재 204세대가 축산(양계)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금산동
김천의 서북쪽 끝에 자리한 외곽지대 마을이다. 동쪽으로는 부춘산을 경계로 하여 신음동과 인접하였으며, 서쪽은 구봉산(九峰山, 269m)을 경계로 하여 봉산면 인의동과 인접하여 있다. 남쪽으로는 거문들이 펼쳐져 있고 그 앞을 직지천이 흐른다. 동으로 흐르는 내를 따라서 경부선과 경부고속도로와 경부국도가 지나가고 있다. 북으로는 구화산(九華山) 이 가로막아서는 구읍과 구봉산이 가로막는 문당(文唐) 골짜기로 나누어진다.
옛적의 읍터이기도 하여 관아·객관 유적지가 발굴되었다. 삼락동과 교동, 그리고 문당동을 어우르는 행정동으로서 조선시대 초엽부터 삼락동에 금산관아가 있었으니 이르자면 김산 문화의 중심지였다고 할 수 있다. 1914년 자연부락을 각각 삼락동과 교동·문당동으로 개편하여 군내면 소속으로 하였다가 다시 금릉면으로 들게 한다. 이어 1931년에는 금릉면이 김천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60년에는 삼락동을 1동과 2동으로 나누었는데 1975년에 통합하기에 이른다. 1983년에 와서 위의 삼락동·교동·문당동을 합하여 금산동으로 부르게 된다.
법정동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아래와 같다.
- 교동(校洞)
- 동쪽은 부춘산을 경계로 신음동과 접하고 서쪽은 삼락동과 인접하는데 중간에 개울이 경계선이다. 남쪽은 평야가 펼쳐지고 마 을 앞을 경부고속도로가 동서로 관통하고 고속도로 남쪽은 직지천이 흘러 부곡동으로 이어지며, 북쪽은 구화산이 둘러앉았다. 그 너머에는 대응동이다.
- 김산골·동부·서부·구읍
- 김산골은 옛날 김산군의 읍(邑)이 이 곳에 있었음으로 해서 붙은 지명이며, 동부와 서부는 마을의 중심을 관류하는 소하천을 경계로 동쪽과 서쪽의 마을을 각각 일컬음이다. 구읍(舊邑)은 이 지방의 중심이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평화동, 남산동 일대로 이동하면서 “예전의 읍(邑)”이라는 뜻으로 구읍(舊邑)이라 했다.
- 삼락동
- 문당동(文唐洞)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
대응동
이 고장은 김천시 북쪽의 변두리에 자리하였으며 북으로는 광덕산(廣德山, 228m)을 사이하여 어모면과 이웃하여 있다. 서쪽으로는 응봉산을 사이 하여 신음동과 이웃하여 있다. 1988년과 1991년 두 차례에 걸쳐 80만평 규모의 공업단지가 이루어졌다.
자연부락인 묘광과 대보는 조선시대에 개령현 서면이었고, 1914년에 일본인들에 의하여 대광동으로 합치게 된다. 마침내 서면과 부곡면을 하나로 하여 개령면으로 들게 된 다. 한편 매목·느티골·독정·아홉사리·새모산은 조선대에 김산군 천상면(川上面)이었는데, 1914년 에 합하여 응명동(鷹鳴洞)이라 부르게 되고, 다시 천상과 천하면을 합하여 아천면(牙川面)으로 들게 한다. 1928년에 와서 아천면과 구소요면이 합하여 어모면에 들기에 이른다. 1983년 대광동과 응명동을 합하여 대응동이라 이르고 김천시 에 편입되었다.
자연부락의 이름과 그 유래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대광동(大光洞)
- 묘광 · 대보·신곡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지고, 광덕산을 배경으로 묘광과 신곡은 그 동남쪽, 대보는 등 너머 남쪽 에 있고, 대보마을 앞으로는 공업단지가 들어섰다. 묘광 · 대보는 오래된 마을로 조선시대에는 개령현 서면이었다가 1914년에 합하여 대광동이라 하고 개령면으로 되었고 1983년 응명동과 통합하고, 대응동이라 하여 김천 시에 들게 되었다.
- 대보(大洑)
- 이 마을에는 높은 산도 없고 숲도 없어서 하천의 물이 부족했다. 그래서 수리시설로서 큰 보를 막아 저수했다가 사 용했으므로 대보라는 동명을 갖게 되었다 한다.
- 묘광(妙光)
- 약 360년 전에 전재일이라는 사람이 이 마을을 개척하여 묘광이라 이름지었다 하며, 금릉군 개령면 대광동에 속했 다가 1983년 2월 15일 행정 구역 개편 때 김천시로 편입되었는데, 현재로 죽산전씨·밀양박씨가 많이 살고 있지만 각성이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있다.
- 신곡(新谷)
- 과수원을 개발하기 위해 처음 집이 하나밖에 없는 외딴집이 들어섰으나 점차 이곳으로 이주 해오는 가구가 늘어나 새로이 형성된 마을이라 하여 신곡이라 부르게 되었다.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개편으로 김천시에 편입되었다.
- 응명동(鷹鳴洞)
- 매목·응명(鷹鳴)
- 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산이 매봉산(鷹峰山)이고 마을로 들어오는 길은 언덕을 깎아낸 잘룩한 곳을 통하 게 된다. 그래서 매의 목에 해당하는 곳에 마을이 있다 하여 마을 이름을 매목이라 했다가 응명으로 고쳤다고 한다밀양박씨 · 진주하씨가 많이 살고 있다.
(전문 김천시사(1999년 12월, 김천시)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