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고장 자산동

설화

사모바위

김천시가의 중앙에 자리한 자산의 동쪽을 일명 모암산이라고도 한다. 옛날 모암산 동남쪽 꼭대기에 사모와 흡사한 바위가 있었는데, 이것을 사모바위(冠帽岩)라 하였다.

조선조 초기 영남 사림파의 종주(宗主) 김종직(金宗直)이 이곳 배천마을에 살 때 김천은 문향(文鄕)으로 이름이 높았다. 그때 하로(賀老 : 陽川洞)에는 일시에 3판서 6좌랑이 났다 할 만큼 고관대작과 학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들 고관대작의 출입에다 김종직을 찾아오는 선비들을 뒷바라지하는 김천역의 역리들은 밤 낮없이 하루도 편히 지낼 날이 없어 괴롭기만 하였다. 이러던 중 한 역리가 꿈을 꾸니 한 도승이 나타나 "괴로워할 것 없느니라. 사모바위만 없애면 편히 지낼 수 있으리라." 하거늘, 동료들에게 꿈이야기를 했더니 모두 그 바위를 없애자고 하여 몰래 산 아래로 굴려 떨어뜨렸다.

과연 그 이후로 이 지방에서 과거하는 사람이 나지 않았다고 한다. 하로 사람들은 원통히 여기고 산밑에 떨어진 사모바위를 하로마울 어귀에 옮겨 놓고, 정월이면 "하로의 옛 영화를 되찾도록 정기를 내려 주소서." 하고 동제를 지냈는데, 근래까지 동제가 계속되어 왔다고 한다. 지금도 사모바위에 촛불을 켜고 소원을 빌기도 한다.

모암산의 이적(異蹟)

김천시 모암동에 있는 모암산(帽岩山) 동쪽 산마루에 사모바위가 있었는데, 그 아래는 온통 암석으로 되어 있어 예부터 신비경(神 秘境)으로 여겨졌고, 아이 못 낳는 여자와 시집 못 가는 처녀들의 기도장이기도 했으며, 구한말까지도 목욕재계하고 동제를 지냈던 곳이다.

1921년 남산공원에 일본신사(日本神社)를 지으면서 구라나리 구 마쓰케(倉成態租. 창성태조) 란 일본인이 석재(石材)로 쓰려고 이곳의 바위를 깨뜨리다가 그날로 급사하였다. 모두가 그곳의 바위를 건드리면 해를 본다 하여 만류했지만, 그는 고집을 부려 채석을 감행하다 변을 당한 것이다. 그 전부터도 집안에서 쓰려고 그곳의 바위를 건드렸다가 작고 큰 원인 모를 병으로 여러 사람이 고생했다고 한다.

구라나리가 죽은 뒤 김천의 일본인들은 그곳에 "岩金穗明神(암금 수명신)" 이란 일본신을 모시는 작은 신사를 짓고 기원제를 지내고 한국의 신을 달랜다 하여 한국 무당을 한 자리에 불러 모아 한국식 굿을 벌이기도 하였다.

누리집 서비스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를 평가해 주세요!

평가